메인화면 > 적용 산업 > 팔레트 없는 잉곳을 정밀 픽업, 비전나비로보틱스 자가개발 VNP15(카운터밸런스 로봇)로 창고 효율 향상
팔레트 없는 잉곳을 정밀 픽업, 비전나비로보틱스 자가개발 VNP15(카운터밸런스 로봇)로 창고 효율 향상

팔레트 없는 잉곳을 정밀 픽업, 비전나비로보틱스 자가개발 VNP15(카운터밸런스 로봇)로 창고 효율 향상

2025-10-20
기타 - 실내 수평 운반 작업

공장 내 물류에서는 파렛트가 있는 화물도 있지만, 파렛트 없이 적재된 화물도 많습니다. 무인지게차가 무(無)파렛트 화물을 집게 될 때에는 다음과 같은 난점이 있습니다.

  • 고정된 삽입 지점(포크홀)이 없어, 포크 진입 시 화물을 밀거나 전도로 이어지기 쉬움
  • 화물이 불규칙한 형상·금속 반사·단조로운 질감 등을 띠고, 밀집 적재 시 경계가 모호해 인접 화물까지 동시에 물 수 있음
  • 적재 불안정이나 외력으로 화물 위치가 변하면, 사전 계획한 포크 경로가 무효화될 수 있음

이번에 소개할 사례는 중국 서남권의 한 유명 금속 제조사 현장입니다. 비전나비의 최신 자가개발 **VNP15(카운터밸런스 스태커형 무인지게차)**가 무파렛트 화물의 형상·적층 상태를 정밀 인식하여 고효율·고안전 이송을 구현했습니다.

 

프로젝트 배경

고객사는 남서부 지역의 한 유명 금속 제조업체입니다. 공정에서 다루는 자재는 운반 장비(팔레트) 없이 적층된 은색 주석 블록이며, 규격은 500 × 550 × 608 mm입니다. 현장에는 3개 생산 라인이 있고 컨베이어 상면 높이는 680 mm입니다. 고객은 비전나비로보틱스의 자가개발 VNP15(카운터밸런스 스태커형) 무인지게차 여러 대와 RCS 2.0 중앙관제·스케줄러를 도입해, 주석 블록의 하선(오프로더) → 자동 입고/보관까지 전 과정을 무인화했습니다.

 

프로젝트 프로세스

1) 하선(오프로더)

  • 생산 라인에서 하선 지점으로 주석 블록이 도착하면, 작업자가 콜박스로 VNP15를 호출합니다.
  • VNP15가 블록을 하선 지점 → 계량 구역으로 이송하여 중량 재확인을 수행합니다.

결과에 따라 양품 구역 또는 불량 구역으로 자동 분류·이송합니다.

 

2) 입고(보관)

  • 반복 검사를 거쳐 입고 기준을 충족한 블록은 정보 수집을 마친 뒤, RCS 2.0보관 위치를 자동 배정합니다.
  • RCS의 지시에 따라 VNP15가 지정 로케이션으로 운반·적치하여 입고를 완료합니다.

사업 가치

고정밀·유연 포크 인입, 안정 운반

  • VNP15는 주석 블록의 에지와 적층 상태를 정밀 인식하고, 작업 중 포크 자세(각·깊이·좌우 편차)를 자가 보정합니다.
  • 이로써 무(無)파렛트 화물에서 빈번한 밀림·전도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운반을 구현합니다.

 

지능형 스케줄링으로 창고 효율 향상

  • RCS 2.0은 고객 상위(Host) 시스템과 연동되어 로케이션 자동 배정 및 다대 VNP15 협업 스케줄링을 수행합니다.
  • 결과적으로 하선 → 계량 → 입고 전 과정을 완전 무인화하여 처리량과 운영 효율을 높입니다.

복잡 환경에 대한 높은 적응성

  • 비전나비의 자가개발 차체·제어 핵심 기술무파렛트, 금속 표면 반사, 이송 라인 높이 차 등의 난제를 극복합니다.
  • 실시간 경로 계획 + 힘(Force) 피드백 제어를 통해 화물 위치가 다소 변해도 안정적인 픽업·이송이 가능합니다.
  • 금속 제조 업종의 무파렛트 이송에 높은 유연성·신뢰성을 입증한 자동화 레퍼런스로, 현장 지능화 업그레이드를 가속합니다.